-대한민국 경제 뉴스 Top10-
[1] 산업생산·소매판매·설비투자 '트리플 증가' 기록
- (출처: 통계청 / 보도일시: 2025-04-30 08:00 KST)
- (키워드: 3월 산업지표, 경제 회복, 설비투자 증가)
요약:
3월 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2.2%, 소매판매는 1.2%, 설비투자는 3.7% 증가하며 주요 실물지표가 모두 상승했다. 2021년 이후 첫 '트리플 증가' 기록으로,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 반도체 수출 4개월 연속 증가…4월 5.1%↑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보도일시: 2025-04-30 09:00 KST)
- (키워드: 반도체 수출, 메모리 가격 반등, IT 수요)
요약:
4월 반도체 수출이 전년 대비 5.1% 증가하며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 회복과 AI·서버용 수요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3] 1분기 한국 경제 성장률 0.7% 기록
- (출처: 한국은행 / 보도일시: 2025-04-30 08:30 KST)
- (키워드: 실질 GDP, 민간소비, 수출 반등)
요약: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대비 0.7% 성장했다. 민간소비 회복과 수출 반등이 성장에 기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4] 4월 무역수지 3.1억 달러 흑자 전환 (Follow-up)
- 이전 요약: 3월까지는 적자였으나 4월 수출 증가세가 반영되며 무역수지 개선 가능성이 제기됐었다.
- 업데이트: 산업부에 따르면 4월 무역수지는 3.1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반도체·자동차 수출 증가가 주효했다.
[5] 소비자물가 3.2% 상승…식료품 가격 강세 지속
- (출처: 통계청 / 보도일시: 2025-04-30 08:00 KST)
- (키워드: 물가 상승률, 식료품·외식비, 인플레이션)
요약: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3.2%를 기록했다. 농산물, 외식비 등 생활밀접 품목 가격 상승이 주된 요인이다.
[6] 외환보유액 한 달 새 22억 달러 증가
- (출처: 한국은행 / 보도일시: 2025-04-30 10:00 KST)
- (키워드: 외환보유액 증가, 달러 자산 평가익, 외환안정)
요약:
4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전월 대비 22억 달러 늘어난 4,430억 달러를 기록했다. 달러 약세와 미국 자산 평가익 반영에 따른 결과다.
[7] 4월 기업 체감경기(BSI) 3개월 연속 개선
- (출처: 대한상의 / 보도일시: 2025-04-30 09:30 KST)
- (키워드: 기업 심리지표, 제조업 경기, 수출기대)
요약:
4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84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제조업과 수출 중심 기업들의 전망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8] 원/달러 환율 1,316원 마감…1년 내 최저
- (출처: 연합뉴스 / 보도일시: 2025-04-30 15:30 KST)
- (키워드: 환율 하락, 외환시장 안정, 외국인 자금유입)
요약:
4월 30일 기준 원/달러 환율이 1,316원으로 마감하며 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외국인 주식 순매수 확대와 무역흑자 효과가 반영됐다.
[9] 청년층 고용률 0.5%p 상승…9개월 만에 반등
- (출처: 고용노동부 / 보도일시: 2025-04-30 11:00 KST)
- (키워드: 청년 고용, 노동시장 개선, 정책 효과)
요약:
2025년 1분기 청년층 고용률이 0.5%포인트 상승하며 9개월 만에 반등했다. IT·스타트업 중심 채용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10] 정부, 탄소중립 산업 전환펀드 1조원 추가 조성
- (출처: 산업부 / 보도일시: 2025-04-30 13:00 KST)
- (키워드: 탄소중립, 친환경 투자, 산업 구조 전환)
요약:
정부는 산업계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전환펀드'를 추가로 1조원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수소, 재생에너지, 전기차 부품 등에 중점 투자할 예정이다.
✨ 대한민국 경제 흐름 요약 (실시간 기준)
2025년 4월 말 현재, 한국 경제는 산업생산·소비·투자가 동반 상승하고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되며 뚜렷한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다. 반도체 수출 증가, 고용 개선, 환율 안정까지 실물 및 금융 전반에서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
-미국 경 뉴스 Top10-
[1] 1분기 GDP 성장률, 0.5% → 0.6%로 추가 상향
- (출처: U.S. Commerce Department / 보도일시: 2025-04-29 09:00 EST)
- (키워드: 미국 GDP 수정치, 성장률 상향, 경기반등 신호)
요약:
미국 상무부는 1분기 GDP 성장률을 기존 0.5%에서 0.6%로 추가 상향 조정했다. 민간소비 및 서비스 수출 호조가 상향 요인으로 작용했다.
[2] 소비자신뢰지수 104.0으로 반등 (Follow-up)
- 이전 요약: 4월 초 발표치 103.5였으며 반등세를 보이기 시작함.
- 업데이트: 컨퍼런스보드는 4월 소비자신뢰지수를 최종 104.0으로 수정 발표했다. 노동시장 안정성과 인플레 둔화 기대가 심리 개선 배경이다.
[3] 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 실적 ‘어닝서프라이즈’
- (출처: CNBC / 보도일시: 2025-04-29 16:00 EST)
- (키워드: 기술주 실적, AI 수요, 클라우드 성장)
요약: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가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돌며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수요가 주요 성장 원인으로 분석된다.
[4] S&P500, 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 (출처: Bloomberg / 보도일시: 2025-04-29 15:30 EST)
- (키워드: 주가지수 최고치, 기술주 강세, 투자심리 개선)
요약: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지며 S&P500과 나스닥 지수가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장은 금리 동결 및 기업 실적에 반응 중이다.
[5] 주택가격지수 3월 기준 1.5% 상승
- (출처: S&P CoreLogic / 보도일시: 2025-04-29 10:00 EST)
- (키워드: 주택가격 상승, 수요 유지, 공급 제약)
요약:
미국 주요 도시의 3월 주택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1.5% 상승했다. 모기지 금리는 높지만, 주택 공급 부족으로 가격은 여전히 강세다.
[6] 신규 실업수당 청구 21만 건…예상치 부합
- (출처: U.S. Department of Labor / 보도일시: 2025-04-29 08:30 EST)
- (키워드: 고용시장 안정, 실업수당 청구, 경기반등 지표)
요약: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1만 건으로 예상과 거의 일치했다. 노동시장 강세가 유지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7] 개인소비지출(PCE) 지수 3.0% 상승
- (출처: Bureau of Economic Analysis / 보도일시: 2025-04-29 09:00 EST)
- (키워드: 인플레이션, PCE지수, 연준 판단 근거)
요약:
3월 미국 PCE 지수가 전년 대비 3.0% 상승하며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상회했다. 그러나 전월 대비 상승률은 0.1%에 그쳐 둔화 신호도 감지된다.
[8] 골드만삭스, 연준 7월 첫 금리 인하 가능성 제기
- (출처: Reuters / 보도일시: 2025-04-29 14:00 EST)
- (키워드: 금리전망, 연준 정책, 경기 연착륙)
요약:
골드만삭스는 7월 FOMC에서 연준이 첫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60% 이상이라고 전망했다. 근거는 인플레이션 둔화와 고용안정 흐름이다.
[9] 중고차 가격지수 0.8% 하락…4개월 연속↓
- (출처: Manheim / 보도일시: 2025-04-29 11:00 EST)
- (키워드: 중고차 시장, 자동차 소비지표, 가격조정)
요약:
4월 중고차 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0.8% 하락하며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전기차 가격 조정과 공급 증가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10] 국제유가 WTI 기준 78.5달러로 반등 마감
- (출처: Bloomberg / 보도일시: 2025-04-29 17:00 EST)
- (키워드: 국제유가 반등, 재고 감소, 중동 정세)
요약:
WTI 기준 국제유가는 78.5달러로 하루 동안 1.8% 상승했다. 미국 원유재고 감소와 중동 내 지정학적 리스크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 미국 경제 흐름 요약 (실시간 기준)
미국 경제는 기술주 실적 호조와 고용·소비 회복 흐름 속에서 증시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소비자심리도 안정세를 되찾고 있으나,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히 연준의 정책 결정을 좌우하는 주요 변수다. 연준의 7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시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WS[대한민국 & 미국]금융 뉴스 요약_2025.05/02 (4) | 2025.05.02 |
---|---|
NEWS[대한민국 & 미국]시사 뉴스 요약_2025.05/02 (8) | 2025.05.02 |
[대한민국 & 미국]금융 뉴스 요약_2025.04/30 (6) | 2025.04.30 |
[대한민국 & 미국]시사 뉴스 요약_2025.04/30 (6) | 2025.04.30 |
[대한민국 & 미국]경제 뉴스 요약_2025.04/30 (4)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