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알아두면좋을것들)/전세,부동산

[6편]_전세계약 종료 시 퇴거 준비와 보증금 100% 돌려받는 실전 방법

kvinlee 2025. 4. 30. 13:00
반응형

보증금 100% 돌려받기! 퇴거 준비부터 실전 방법까지

전세계약이 종료된다고 해서 자동으로 보증금이 반환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보증금 반환 분쟁이 크게 늘어나면서,
보증금을 100% 안전하게 돌려받기 위해선 철저한 준비와 전략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실제 퇴거 준비부터 반환 완료까지
보증금을 완전히 돌려받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드립니다.


1. 계약 종료 2~3개월 전 미리 보증금 반환 협의

  • 퇴거 예정일 최소 2~3개월 전에 집주인에게 구두 + 서면으로 통보
  • "퇴거 예정일"과 "보증금 반환 예정일"을 분명히 합의
  • 가능하면 문자, 이메일 등 서면 기록 남기기

📌 기록을 남겨야 나중에 분쟁 시 증거가 됩니다.


2. 보증금 반환 계획 서면 요청 (가능 시)

  • 집주인에게 "보증금 반환 계획서"를 요청하면 가장 안전
    • 반환 예정일
    • 반환 방식 (현금/계좌이체)
    • 반환 금액 명시

(거부하거나 부담스러워하면 문자로 약속 내용만이라도 남기자.)


3. 퇴거 전 열쇠·시설 점검 준비

  • 입주 때 사진 기록해둔 자료와 비교
  • 세입자 과실로 발생한 손상은 복구
  • 일반적 사용에 따른 변색/마모는 복구 대상 아님 (법적 기준)

입회 점검을 집주인과 함께 진행하고, 상태 확인 문서화할 것.


4. 관리비 및 공과금 완전 정산

  • 전기, 수도, 가스, 인터넷, 관리비 등 미납 여부 확인
  • 미납된 관리비가 있다면 보증금에서 공제될 수 있으니, 퇴거 직전까지 모두 정산하고 영수증 확보하기

5. 퇴거 당일 필수 체크리스트

항목체크사항
입회 점검 집주인, 중개인 입회 하에 상태 확인
열쇠, 카드 반납 모든 열쇠, 출입카드, 리모컨 반납
최종 관리비 정산 잔여 금액 정산 완료
반환 방식 확인 계좌이체/현금 반환 여부 확인

📌 퇴거 당일 보증금 반환 약속 불이행 시 바로 대응 준비!


6. 만약 집주인이 당일 보증금 반환을 거부하면?

  1. 내용증명 발송:
    • 퇴거 완료 및 보증금 반환 청구
    • 반환 기한 명시 (통상 7일 이내)
  2.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 바로 이사해야 하는 경우 →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후 이사 가능
    • (보증금 우선변제권 유지)
  3. 전세보증금 반환 소송 제기:
    • 간단한 소액 민사소송으로 보증금 청구 가능
  4. 소송 승소 후 강제집행:
    • 집주인 소유 부동산 경매, 예금압류 등 강제집행 가능

📋 핵심 요약표

단계준비 사항
2~3개월 전 퇴거 통보, 반환 협의
퇴거 전 원상복구, 관리비 정산 완료
퇴거 당일 입회 점검, 반환 방식 확인
반환 거부 시 내용증명 → 임차권 등기 → 소송 → 강제집행

🛠️ 추가 TIP: 보증금 100% 돌려받는 실전 요령

✅ 가능하면 퇴거 당일에 보증금 반환 받기 (가장 이상적)
✅ 미지급 우려 시, 퇴거 일정을 조율해 보증금 입금 후 이사 가능
✅ 전세보증보험 가입자는 보험 청구도 가능 (대위변제)
✅ 내용증명은 "계약서 번호, 금액, 반환 요구 기한"까지 상세히 작성
✅ 집주인 압박용으로 "법적 대응 예정" 언급 시 신속 대응 가능성 ↑


📝 결론

보증금은 집을 비우는 것만으로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퇴거 전 준비 → 퇴거 당일 체크 → 반환 거부 대응까지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움직여야
보증금을 100%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퇴거 준비는 계약 마지막이 아니라, 또 하나의 중요한 계약 절차입니다.

반응형